🔖 오늘 읽은 범위
챕터 2 의미있는 이름 (~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라)
😃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.
* 5가 들어가는 이름을 모두 찾은 후 의미를 분석해 원하는 상수를 가려내야 한다.
* 똑똑한 프로그래머와 전문가 프로그래머 사이에서 나타나는 차이점 하나만 들자면, 전문가 프로그래머는 명료함이 최고라는 사실을 이해한다.
* 한 단어를 두가지 목적으로 사용하지 마라.
* 집중적인 탐구가 필요한 코드가 아니라 대충 훑어봐도 이해할 코드작성이 목표다.
* 의도를 밝힐 책임이 저자에게 있는 잡지 모델이 바람직하다.
* 변수에 좀 더 의미 있는 맥락이 필요하다. (예시 기억하기)
* 우리들 생각은 다르다. 오히려 좋은 이름으로 바꿔주면 반갑고 고맙다.
🤔 오늘 읽은 소감은?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
* 예시 2번을 보는데 책을 읽듯 아 저런게 문맥파악이구나 문맥이 코드에도 있구나,... 그럼 난...... (과거 회상) 의미 없이 쓰던 상수를 변수화 시킨다거나, 여전히 독자가 밝혀내는 내용보다 해당 내용을 읽는 사람이 쉬울 수 있게 고려한다는 내용은 또 잊어버릴만하면 상기되서 좋은것 같다. 하여튼 예시2가 이번 챕터의 요약이 아닐까...
🔎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,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.
* 헝가리식 표기법
헝가리안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 또는 헝가리 표기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나 함수의 이름에 그 종류, 곧 흔히 데이터 타입 따위를 명시하는 표기법으로, 명명규칙의 일종이다. 고안자인 찰스 시모니가 헝가리인이었던 것에서 헝가리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.
그 중에서도 Systems notation과 Apps notation이 있어 이 둘은 그 목적에서 차이가 나는데, Systems notation은 기계적인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기 위해 접두어를 변수나 함수명의 앞에 붙이는 방식이고, Apps notation은 데이터의 논리적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 접두어를 붙이는 방식이다.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7%9D%EA%B0%80%EB%A6%AC%EC%95%88_%ED%91%9C%EA%B8%B0%EB%B2%95
소감 3줄 요약
* 맥락
* 똑똑한 프로그래머가 아닌 (물론 되기도 어렵지만) 전문가 프로그래머가 되자...
* 좋은 코드를 위해 변화를 두려워 하기보단 고맙고 반갑게.. 생각하기.. (내안의 꼰대.. 빠잉..)
'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20124 클린코드 | 노개북 4 Day (0) | 2022.01.25 |
---|---|
220123 클린코드 | 노개북 3 Day (0) | 2022.01.24 |
220122 클린코드 | 노개북 2 Day (0) | 2022.01.23 |
220121 클린코드 | 노개북 1 Day (0) | 2022.01.23 |